러시아 차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차르국은 1547년 이반 4세가 차르로 즉위하면서 시작된 국가로, 초기에는 루스 차르국으로 불렸으나, 후기에는 러시아 차르국으로 국호가 변경되었다. 서유럽에서는 모스크바 차르국으로 불리기도 했다. 류리크 왕조 시기에는 차르의 권력이 강화되었고, 이반 4세는 오프리치니나 정책을 통해 보야르들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동란 시대에는 왕조가 단절되고 혼란이 있었으나, 로마노프 왕조가 들어서면서 안정을 찾았다. 러시아 차르국은 17세기 동안 우크라이나를 획득하고 시베리아를 개척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으며, 1649년 법전으로 농노제를 강화했다. 표트르 1세 시기에 서유럽 문화를 받아들이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러시아 제국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근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근세사 - 소러시아
소러시아는 14세기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남서 루스 지역을 지칭하는 교회 용어에서 시작, 지리적 명칭과 러시아 차르국의 행정 구역명으로 사용되었으나, 우크라이나 민족 운동 이후 부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역사적 명칭이다. - 러시아 차르국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에 걸쳐 모피 무역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차르국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통해 야사크를 징수하고 원주민을 수탈하며 시베리아를 통치했다. - 러시아 차르국 - 크림 칸국
크림 칸국은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크림 반도를 중심으로 존속한 튀르크계 국가로, 칭기즈 칸의 후예인 하지 1세 기라이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보호 아래 흑해 무역을 장악했으나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며 멸망하고 노예 무역이 주요 수입원이었다. - 러시아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러시아 - 키이우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이자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키예프 루스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략 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중심지로서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재건 노력을 하고 있으며, 'Kyiv' 표기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러시아 차르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러시아 차르국 |
로마자 표기 | Russkoye tsarstvo |
다른 명칭 | 모스크바 차르국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
존속 기간 시작 | 1547년 |
존속 기간 종료 | 1721년 |
건국 사건 | 이반 4세 대관식 |
건국 날짜 | 1547년 1월 16일 |
멸망 사건 | 러시아 제국 선포 |
멸망 날짜 | 1721년 11월 2일 |
이전 국가 | 모스크바 대공국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시비르 칸국 카심 칸국 노가이 호르드 |
계승 국가 | 러시아 제국 |
수도 | 모스크바 (1547년–17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 (1712년–1721년) |
공용어 | 러시아어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통화 | 러시아 루블 |
현재 국가 | 벨라루스 핀란드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
데모님 | 러시아인 |
국기 | |
![]() | |
![]() | |
국장 | |
![]() | |
지도자 | |
직책 | 차르 |
초대 군주 | 이반 4세 |
초대 군주 통치 기간 | 1547년–1584년 |
마지막 군주 | 표트르 1세 |
마지막 군주 통치 기간 | 1682년–1721년 |
입법부 | |
입법 기관 | 보야르 두마 (1547년–1549년; 1684년–1711년) 젬스키 소보르 (1549년–1684년) 통치원로원 (1711년–1721년) |
역사적 사건 | |
주요 전쟁 | 리보니아 전쟁 (1558년–1583년) 동란 시대 (1598년–1613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6년–1667년) (1656년–1667년) 대북방 전쟁 (1700년–1721년) |
조약 | 니스타트 조약 (1721년) |
인구 | |
1500년 | 600만 명 |
1600년 | 1200만 명 |
1646년 | 1400만 명 |
1719년 | 1570만 명 |
2. 국호
초기에는 루스 차르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하였지만,[64][65] 후기부터는 러시아 차르국으로 국호를 변경하였다.[66][67] 서유럽 여러 나라에서 이 국가를 루스 차르국이나 러시아 차르국 대신 모스크바 차르국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정치적 갈등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었다.[63] '모스크바 차르국'이라는 명칭은 러시아 역사가[68] 사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러시아인들에게도 널리 인정받았다.[63]
러시아 차르국의 역사는 크게 류리크 왕조 시대와 로마노프 왕조 시대로 구분된다.
모스크바 대공국 문서에서 사용된 가장 오래된 국어명은 "러스"( Русь|루시ru)와 "러시아 땅"( Русская земля|루스카야 제믈랴ru)이었지만, 15세기가 되면서 러시아어의 새로운 형태(로시야)가 일반화되었다.[12] [13][14][15] ''러스''는 러스에 대한 그리스어 명칭을 기반으로 ''러시야'' 또는 ''로시야''로 변형되었다.[16] 1480년대에 러시아 국가 서기관 이반 체르니와 미하일 메도바르체프는 러시아를 "Росиа"|로시아ru라는 이름으로 언급했고, 메도바르체프는 Росийскаго господства|로시스카고 고스포츠바ru(러시아 영주권)의 홀도 언급했다.[17] 이후 ''로시야''는 ''러스''와 공존하며 여러 자료에 등장한다.[20]
1547년 1월 16일, 이반 4세는 전 러시아 차르이자 대공( Царь и Великий князь всея Руси|차리 이 벨리키 크냐지 프세야 루시ru)로 즉위하여,[21] 러시아 차르국(또는 대러시아 차르국)을 선포했다.[22]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예레미야 2세[23][24] 및 수많은 공식 문서에서 러시아 차르국은 "대러시아 차르국"으로 불렸다.[25][26][27][28][29][30] 17세기가 되면서 ''로시야''는 차르의 제국 권위를 설명하는 데 있어 러스를 대체했고, 표도르 3세는 러시아와 비러시아 영토 모두를 종속시키는 국가를 나타내는 데 "대러시아 차르국"(Velikorossisskoe tsarstvie|벨리로시스코에 차르스트비에ru)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32] 공식 문서에서는 ''러스''가 대체되었지만, ''러스''와 ''러시아 땅''은 여전히 동의어로 사용되었다.[33]
유럽, 특히 가톨릭 지역에서는 러시아를 ''모스크바''( 모스크바영어)라고도 불렀지만, 이 라틴어 용어는 러시아에서 사용되지 않았다.[34] ''러시아''와 ''모스크바''는 16세기 후반과 17세기 내내 서로 바꿔 사용 가능했으며, 서구 지도와 자료에서는 "러시아 또는 모스크바" (Russia seu Moscovia|루시아 세우 모스코비아la) 또는 "러시아, 통칭 모스크바" (Russia vulgo Moscovia|루시아 불고 모스코비아la)와 같이 사용되었다.[35][36] 자일스 플레처, 새뮤얼 콜린스 등 러시아를 방문했던 영국인들은 ''러시아''라는 용어를 사용했고,[37] 존 밀턴을 포함한 다른 저자들도 마찬가지였다.[38][39]
알렉산더 지민과 안나 호로슈케비치에 따르면, ''모스크바''라는 용어의 사용은 모스크바 대공국과 러스의 리투아니아 지역을 구분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이었다.[40][41] 그러나 북유럽과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러시아가 ''러시아'' 또는 ''로시야''로 알려져 있었다.[42]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은 러시아 차르국에 관한 저서에서 ''러시아''와 ''모스크바''를 모두 사용했고,[43] 자크 마르제레는 외국인들이 "모스크바인이라고 부르고 러시아인이라고 부르지 않는 실수"를 한다고 말했다.[44] 러시아에서 ''모스크바''와 가장 가까운 용어는 "모스크바 차르국"(Московское царство|모스콥스코에 차르스트보ru)이었는데, 이는 ''러시아''와 함께 사용되었고,[45][46] 17세기 러시아 저서 ''위대한 영광스러운 러시아 모스크바 국가에 대하여''(О великом и славном Российском Московском государстве|오 벨리콤 이 슬라브놈 로시스콤 모스콥스콤 고수다르스트베ru)와 같이 사용되었다.[47]
3. 역사
이반 4세는 1547년 동로마 제국 황제의 대관식을 본뜬 의식을 통해 차르로 즉위했다. 이는 모스크바가 제3의 로마라는 새로운 제국적 야망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반 4세는 보야르(귀족)들의 지원을 받아 통치 초기 일련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1550년대에 새로운 법전을 선포하고, 군대를 개편했으며, 지방 정부를 재편성한 것이 대표적이다.[49][50][51][52]
이반 4세 시기에는 소위 선출 평의회(Select Council)의 고문들이 준비하고 공포한 주요 문서들이 있다.문서 종류 문서 제목 법전 법전 족보 족보 교회법전 교회법전 성인록 성인록 역사서 블라디미르 공후기, 칙령집, 연대기, 총대주교 연대기 기타 도모스트로이
이반 3세는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의 조카딸 소피아 팔라이올로기나와 결혼하였는데, 1453년 제2의 로마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이후, 황제라는 뜻의 차르를 군주의 호칭으로 처음 사용하면서 모스크바는 제3의 로마이며 러시아의 차르는 제3의 로마 황제라고 주장하였다.[48] 동시에 동로마 제국의 어휘, 의식, 칭호, 그리고 현재도 러시아의 국장으로 계승되는 쌍두 수리 문장 등을 계승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1598년 표도르 1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류리크 왕조가 단절되었다. 이후 러시아 차르국은 동란 시대(Смутное Времяru)라 불리는 혼란기에 접어들었다. 차르의 보야르 박해, 도시민 억압, 소작농의 농노화 시도 등으로 많은 사회 세력이 불만을 품었다.
1613년, 젬스키 소보르는 대귀족 미하일 로마노프를 차르로 선출하였고, 300년에 걸친 로마노프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로마노프 왕조는 동란 시대를 수습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총대주교 니콘이 러시아 정교회의 예식을 그리스식과 일치시키기로 결정하면서 러시아 정교회는 분열을 겪게 되었다. 1667년 2월 10일에 반니콘파 요아사푸스 2세가 총대주교에 취임한 결과, 교회 분열, 즉 라스콜이 일어났다.
러시아는 동쪽으로 시베리아를 개척하여 오비 강에서 태평양 연안까지 진출했다. 17세기 중반에는 아무르 강 유역에서 청나라와 충돌했고, 1689년 넬친스크 조약으로 바이칼 호 동쪽 지역과 베이징 무역로를 확보했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러시아는 정적이고 다소 고립된 전통적인 국가에서 벗어나, 더욱 역동적이고 부분적으로 서구화된 세속적인 제국으로 변모했다.
3. 1. 류리크 왕조 (1547년 ~ 1598년)
이반 4세는 1547년 동로마 제국 황제의 대관식을 본뜬 의식을 통해 차르로 즉위했다. 이는 모스크바의 새로운 제국적 야망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반 4세는 보야르(귀족)들의 지원을 받아 통치 초기 일련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1550년대에 새로운 법전을 선포하고, 군대를 개편했으며, 지방 정부를 재편성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개혁들은 지속적인 전쟁에 직면하여 국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49][50][51][52]
이반 4세 시기에는 소위 선출 평의회(Select Council)의 고문들이 준비하고 공포한 주요 문서들이 있다.
문서 종류 | 문서 제목 |
---|---|
법전 | 법전 |
족보 | 족보 |
교회법전 | 교회법전 |
성인록 | 성인록 |
역사서 | 블라디미르 공후기, 칙령집, 연대기, 총대주교 연대기 |
기타 | 도모스트로이 |
이반 4세의 통치 기간 동안 차르의 전제군주적 권력은 정점에 달했고, 그는 "그로즈니(Грозный)"라는 별명을 얻었다.[49] "그로즈니"는 "공포나 공포심을 불러일으키는; 위험한; 강력한; 무서운"과 같은 "terrible"의 구식 영어 용법을 반영한다. 블라디미르 달(Владимир Даль)은 "그로즈니"를 구식 용법으로, 그리고 차르에 대한 칭호로 특별히 정의하며 "용감하고, 위대하고, 위엄 있으며, 적들을 두려워하게 하지만, 백성들을 복종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했다.[49] 현대 학자들은 다른 번역을 제시하기도 했다.[50][51][52]
3. 1. 1. 제3의 로마
이반 3세는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의 조카딸 소피아 팔라이올로기나와 결혼하였는데, 1453년 제2의 로마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이후, 황제라는 뜻의 차르를 군주의 호칭으로 처음 사용하면서 모스크바는 제3의 로마이며 러시아의 차르는 제3의 로마 황제라고 주장하였다.[48] 동시에 동로마 제국의 어휘, 의식, 칭호, 그리고 현재도 러시아의 국장으로 계승되는 쌍두 수리 문장 등을 계승하여 사용하게 되었다.이반 4세는 즉위식 때 차르로써 대관식을 거행한 후 대내외적으로 차르 호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때부터 차르는 단순히 제3의 로마 황제를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전제군주로서의 의미도 포함하게 되었다.[49] 1510년 수도승 프스코프의 필로테우스는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후 러시아 차르만이 유일한 정교회 통치자로 남았고, 모스크바가 제3의 로마가 되어 로마 제국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최종 계승자가 되었다는 주장을 하였다.[50][51][52] "제3의 로마" 개념은 이후 수세기 동안 러시아 국민의 자기 이미지에 공명하게 되었다.
3. 1. 2. 이반 4세의 치세 초기
이반 4세는 1547년, 동로마 제국 황제의 대관식을 본뜬 의식을 통해 차르로 즉위했다. 그는 측근 보야르들의 지원을 받으며 통치 초기 일련의 개혁을 추진했다. 1550년대에 이반 4세는 새로운 법전을 공포하고, 군대를 개편했으며, 지방 통치 기관을 재조직했다.[49][50][51][52] 이러한 개혁은 지속적인 전쟁에 대비하여 국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49]3. 1. 3. 이반 4세의 외교 정책
지기문트 폰 헬벨슈타인 남작이 1549년 모스크바의 제사에 관한 기록을 출판하여 서구에 러시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기 전까지, 서구인에게 러시아는 미지의 사회였다. 1630년대 러시아를 방문한 아담 올레아리우스는 이 나라에 관련한 풍부한 정보를 생생하게 기술하여 그의 책은 유럽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49]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상인들에 의해 더 상세한 정보가 전해졌다. 리처드 챈슬러는 1553년 북동항로를 항해해 백해에 도착해 모스크바에 상륙했다. 그는 잉글랜드로 돌아간 후 세바스찬 카포트, 휴 윌로비 경 및 런던 상인들과 함께 모스크바 회사를 설립했다. 이반 4세는 그들 상인을 엘리자베스 1세와 왕복 서신을 교환하는 데 이용했다.[49]
1530년대부터 1540년대에 걸쳐 국내 혼란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전쟁과 국가 확장을 진행했다. 이반 4세는 1552년 볼가강 중류의 카잔 한국을 공격해 병합하고, 볼가강과 카스피해가 만나는 지점의 아스트라한 한국을 멸망시켰다. 이로써 러시아는 다민족, 다종교 국가로 변모했다. 차르는 볼가 강 유역 전역에 지배를 미치고 중앙아시아로의 발판을 얻었다.[49]
북서부 발트해 해역으로 확장은 곤란했다. 1558년 리보니아로 공격해 들어간 이반 4세는 25년 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스웨덴, 덴마크와 전쟁을 치렀다. 일시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발트 해에서 패권을 획득하는 데 실패했다.[49]
러시아가 리보니아에 집중하는 동안 크림의 지배자 데보레트 기레이는 12만 기병을 이끌고 모스크바를 공격했고, 1572년 모로디 전투에서 멈출 때까지 공격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이후 수십 년간 남부 국경지대는 노가이 오르다와 크림 한국의 약탈을 받아 주민들이 노예가 되었다. 대 녹채 지대 관리 및 경비에 연간 수만 명의 병사가 필요해 러시아는 사회적, 경제적 발전이 저해되었다.[49]
3. 1. 4. 오프리치니나
이반 4세는 1565년 러시아를 자신의 사유지인 오프리치니나와 공공 영역인 젬시치나로 나누었다. 그는 오프리치니나를 포함한 자신의 영토를 수호하기 위해 오프리치니크라는 친위대를 창설했다. 이반 4세는 오프리치니크를 이용하여 보야르(귀족), 상인, 평민 등 자신에게 적대적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숙청하고 학살했다. 이러한 공포정치는 1570년 노브고로드 대학살에서 정점에 달했다.[49][50][51][52]오프리치니나 정책으로 이반 4세는 주요 보야르 가문들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약화시켰다. 이들은 러시아를 강하게 만들고 국가를 운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무역은 쇠퇴했고, 농민들은 늘어나는 세금과 폭력의 위협을 피해 러시아를 떠나기 시작했다. 농민들의 이동을 제한하려는 노력은 농민들을 토지에 묶어 농노제를 강화시켰다. 1572년, 이반 4세는 오프리치니나 체제를 포기했다.
일반적으로 오프리치니나 체제는 전쟁 자원을 동원하고 반대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이반 4세의 국내외 정책은 러시아를 황폐화시키고 혼란의 시대(1598~1613)라고 불리는 사회 분쟁과 내전을 초래했다.
3. 2. 동란 시대 (1598년 ~ 1613년)
1598년 표도르 1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류리크 왕조가 단절되었다. 보리스 고두노프는 국가의회인 ''젬스키 소보르''를 소집해 자신을 차르로 선출시켰으나, 많은 보야르(귀족) 파벌이 그의 즉위를 승인하지 않았다. 1601-1603년의 러시아 대기근으로 사회적 불만이 쌓인 가운데, 1591년 사망한 이반 4세의 아들 우글리치 공 드미트리를 사칭한 가짜 드미트리 1세가 나타났다. 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예수회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로 쳐들어와 보야르를 비롯한 여러 세력의 지지를 얻었다.[70] 1605년 고두노프가 사망하자, 가짜 드미트리 1세는 모스크바에 입성해 고두노프의 아들 표도르 2세를 살해하고 차르에 즉위했다.이후 러시아 차르국은 동란 시대(Смутное Времяru)라 불리는 혼란기에 접어들었다. 차르의 보야르 박해, 도시민 억압, 소작농의 농노화 시도 등으로 많은 사회 세력이 불만을 품었다. 전제정치를 대체할 체제를 만들지 못해 불만을 가진 러시아인들은 잇따라 나타난 가짜 차르들 아래 결집했다. 이 시기 정치적 목표는 독재자에게 영향력을 얻거나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이었다. 보야르들은 내분을 거듭했고, 하층 계급은 무분별한 반란을 일으켰으며, 외국 군대가 수도 모스크바의 크렘린을 점거했다. 이러한 상황은 많은 사람들에게 차르 독재주의가 러시아의 질서와 통합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체제라는 믿음을 심어주었다.
동란 시대는 차르 자리를 둘러싼 보야르 파벌 간의 음모,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및 스웨덴 등 주변국의 개입, 이반 보로트니코프가 이끄는 민중 봉기 등으로 내전 양상을 띠었다. 가짜 드미트리 1세와 그를 지지하는 폴란드군 수비대는 몰락했고, 보야르 바실리 슈이스키가 1606년 차르가 되었다. 슈이스키는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스웨덴과 동맹을 맺어 잉그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이후 등장한 가짜 드미트리 2세 역시 폴란드와 결탁해 모스크바까지 진격하여 투쉬노에 가짜 궁정을 세웠다.
1609년, 폴란드가 러시아에 공식 개입하여 슈이스키를 사로잡고 크렘린을 점령했다. 일부 보야르는 폴란드와 평화 조약을 맺고, 폴란드 왕 지그문트 3세 바사의 아들 브와디스와프 4세를 차르로 추대했다.
1611년, 가짜 드미트리 3세가 스웨덴 점령 지역에 나타났으나 곧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폴란드군 주둔에 대한 불만은 러시아인들 사이에 애국심을 불러일으켰다.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자금 지원과 러시아 정교회의 축복을 받은 의용군이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조직되어 드미트리 포자르스키 공작과 쿠즈마 미닌이 이끌고 크렘린에서 폴란드군을 몰아냈다.
3. 3. 로마노프 왕조 (1613년 ~ 1721년)
로마노프 왕조는 동란 시대를 수습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초기에는 왕권이 약하여 미하일 로마노프의 아버지 필라레트가 국정을 전담했고,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는 보리스 모로조프에게 통치를 일임했다. 모로조프의 압정으로 1648년 소금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1]러시아는 스몰렌스크 탈환에 실패하고 폴란드와 강화 조약을 맺었다. 폴란드 왕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는 차르 지위에 대한 요구를 포기했다.[1]
17세기 동안 러시아는 남서부로 영토를 확장하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하에 있던 우크라이나 지역을 두고 분쟁을 벌였다. 자포리지야 코사크는 폴란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에는 우크라이나 농민들도 가담했다. 크림 칸국과의 동맹이 결렬되자 코사크는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1]
1654년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요청을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가 수락하여 페레야슬라프 조약이 체결되었고, 러시아-폴란드 전쟁이 발발했다. 1667년 안드루소보 조약으로 드네프르 강을 경계로 우크라이나가 분할되었고, 동부 지역은 차르의 종주권 아래 자치령이 되었다.[1]
총대주교 니콘의 러시아 정교회 예식 개혁은 교회 분열(라스콜)을 초래했다. 개혁에 반대한 구교도파는 이단으로 박해받았고, 지도자 아바쿰은 화형당했다.[1]
러시아는 동쪽으로 시베리아를 개척하여 오비 강에서 태평양 연안까지 진출했다. 17세기 중반에는 아무르 강 유역에서 청나라와 충돌했고, 1689년 넬친스크 조약으로 바이칼 호 동쪽 지역과 베이징 무역로를 확보했다.
3. 3. 1. 미하일 로마노프의 치세
1613년, 젬스키 소보르는 대귀족 미하일 로마노프를 차르로 선출하였고, 300년에 걸친 로마노프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왕조의 긴급 과제는 질서 회복이었다. 러시아에게 다행스럽게도 강대한 적국인 폴란드와 스웨덴은 서로 격렬하게 대립하며 분쟁을 계속하고 있었고, 러시아는 이를 기회 삼아 1617년 스웨덴과 강화를 맺을 수 있었다. 1605년부터 계속된 러시아-폴란드 전쟁은 1618년 데울리노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1509년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상실했던 스몰렌스크를 포함한 지역을 일시적으로 회복할 수 있었다.로마노프 왕조 초기 통치자들은 약한 입장에 있었다. 미하일의 통치 기간 동안 오랫동안 차르의 친부이자 1619년부터 모스크바 총대주교 자리에 있던 필라레트가 국정의 여러 사안을 처리했다. 1630년대에 러시아를 방문한 인물(이름 미상)은 이 나라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생생한 묘사로 전달했고, 그의 책은 순식간에 유럽의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3. 3. 2.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의 치세
알렉세이 (재위 1645년 - 1676년)는 초기에는 모로조프에게 통치를 맡겼다. 모로조프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백성을 억압했고, 1648년 모스크바에서 소금 폭동이 일어나 실각했다.[1]러시아는 스몰렌스크를 폴란드로부터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했고, 1634년 다시 강화 조약이 체결되었다(스몰렌스크 전쟁). 폴란드 국왕 블라디슬라프 4세 바사는 이전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의 아들로, 한때 러시아 귀족(보이아르)들에게 차르로 추대되기도 했으나, 이 전쟁의 강화 조약에서 차르 지위에 대한 요구를 포기했다.[1]
3. 3. 3. 1649년 법전
1649년에 도입된 포괄적인 회의법전(소보르노예 우로제니예(Соборное уложение))은 러시아 사회에 대한 국가 지배의 범위를 법으로 명시했다. 이 법전으로 보야르들은 국가에 예속된 새로운 귀족계급인 러시아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국가는 귀족들에게 군사적 봉사를 요구했고, 그 대가로 영지와 소작농을 하사했다. 16세기부터 농민의 이동의 자유는 제한되기 시작했고, 1649년 법전은 농민들을 토지에 완전히 묶어 농노제를 강화했다.[1]영주로부터 도망친 농민은 국가로부터 도망친 자가 되어 영주는 농민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을 갖게 되었다. 국유지 소작농은 농노로 간주되지는 않았지만, 공동체 단위로 조직되어 경작지에 묶여 있었다. 도시의 상인과 직인(장인)은 세금 부과와 이동 금지의 대상이 되었다. 모든 주민은 군사 징병과 특별 과세의 대상이 되었으며, 많은 러시아인이 특정 거주 구역에 묶였다. 결과적으로 1649년 법전은 이동의 자유를 빼앗아 사람들을 국가의 감시 아래 두었다.[1]
3. 3. 4. 우크라이나 획득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던 우크라이나는 자포리자 코사크들이 군단을 조직하여 폴란드, 크림 칸국,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 변경 지역에 밀집해 있었다. 이들은 등록 코사크 군단으로 폴란드 군에 복무하면서도 독립을 열망하여 폴란드에 대한 반란을 반복했다.[1]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가 일어나자 폴란드 지배하에서 사회적, 종교적 압박에 시달리던 우크라이나 농민들도 여기에 가담하면서 반란은 큰 규모로 확대되었다. 우크라이나인들은 크림 칸국과 동맹하여 폴란드 지배에서 벗어나려 했으나, 크림 칸국이 폴란드 편으로 돌아서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해야 했다.[1]
1654년 우크라이나 지도자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러시아의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에게 우크라이나 보호를 요청했다. 알렉세이의 승인은 페레야슬라프 조약에서 발효되어 폴란드와 러시아의 장기간에 걸친 전쟁을 일으켰다. 1667년 안드루소보 조약은 우크라이나를 드네프르 강 유역에 따라 분할하여 서부 지역은 폴란드령으로, 동부 지역은 카자크 추장의 자치령으로 분리하여 차르의 종주권하에 귀속시켰다.[1]
3. 3. 5. 라스콜 (교회 분열)
총대주교 니콘이 러시아 정교회의 예식을 그리스식과 일치시키기로 결정하면서 러시아 정교회는 분열을 겪게 되었다. 니콘의 교회 의례 개정안은 많은 러시아인들에게서 격렬한 항의를 받았다. 이들은 니콘의 개혁이 정교회가 아닌 타락한 로마 가톨릭의 부적절한 방식이 침투한, 악마의 소행이라고 생각했다.[1]1667년 2월 10일에 반니콘파 요아사푸스 2세가 총대주교에 취임한 결과, 교회 분열, 즉 라스콜이 일어났다. 개혁을 받아들이지 않은 사람들은 구교도파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니콘파 교회와 국가로부터 이단으로 단죄되어 가혹한 박해를 받았다. 1682년 4월 24일에는 구교도파의 유력한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사제 아바쿰이 화형에 처해지기도 했다.[1] 이러한 교회 분열은 결정적인 것이 되어, 많은 상인과 소작농이 구교도파 교회에 참여했다.[1]
3. 3. 6. 시베리아 개척
러시아의 동쪽으로의 영토 확대는 큰 저항 없이 진행되었다. 1581년, 모피 무역에 관심이 있던 스트로가노프 가문은 코사크 지도자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를 고용하여 서시베리아로 탐험대를 이끌게 했다. 예르마크는 시비르 칸국을 정복하고 오비 강과 이르티시 강 서쪽 지역을 러시아 영토로 선포했다.
만가제야를 거점으로 상인, 무역상, 탐험가들은 오비 강에서 예니세이 강, 레나 강을 거쳐 태평양 연안으로 동쪽으로 진출했다. 1648년, 코사크 세묘뇬 데즈뇨프는 아메리카와 아시아 사이의 해협을 개척했다. 17세기 중반까지 러시아인들은 아무르 강과 청나라 변방에 도달했다.
청나라와의 국경 분쟁 이후, 러시아는 1689년 중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넬친스크 조약에 따라 러시아는 아무르 강 유역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지만, 바이칼 호 동쪽 지역과 베이징으로 가는 무역로에 대한 접근권을 얻었다.
3. 3. 7. 초기의 제국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러시아는 정적이고 다소 고립된 전통적인 국가에서 벗어나, 더욱 역동적이고 부분적으로 서구화된 세속적인 제국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변화는 표트르 1세의 선견지명, 에너지, 결단력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가들은 표트르 1세가 개인적으로 러시아를 변화시켰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그가 2세기에 걸쳐 이어진 러시아 제국의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는 의견을 같이 한다.
표트르 1세의 통치 기간에 러시아는 처음으로 유럽의 강대국 중 하나로 부상했다. 1700년부터 20년간 지속된 대북방 전쟁은 러시아가 발트해 지역으로 진출하고, 18세기 중반에는 북유럽과 동유럽 일대의 지배권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 러시아는 대내외적으로 제국이라 불릴 만한 체제를 갖추었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도 농노제를 유지하며 패권국으로서 정치적 중심 역할을 수행한 것은 경제적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18세기 후반, 서유럽이 산업혁명으로 경제 성장을 지속하는 동안, 러시아는 제국을 지탱하는 거대한 권력에 발목이 잡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4. 통치 기구
다음은 러시아 차르국의 주요 통치 기구이다.
- 프리카즈: 행정 및 사법 기관이었다.
- 포디아치: 프리카즈에서 일하는 하급 관리였다.
- 드야크: 프리카즈에서 일하는 서기였다.
- 메스트니체스트보: 15세기 중반부터 1682년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귀족 가문의 서열 제도였다.
- 포소슈니예 류디: 러시아 차르국에서 세금 징수, 경찰 업무 등을 담당했던 사람들이었다.
- 슬로보다: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은 지역이었다.
- 우카제: 차르, 총대주교 또는 보야르 두마가 발표한 법령이었다.
- 보치나: 동슬라브족의 세습 재산이었다.
5. 국기
러시아 차르국은 단일 국기 대신 여러 기를 사용했다.[57]
- 차르가 사용한 기(旗):[57]
- * '''러시아 차르의 기(旗)''' (1693년–1700년): 중앙에 금색 이중 머리 독수리가 있는 백청적 삼색기.[57] 1700년 제정 기(旗)로 대체되었다.[57]
- * '''제국 기(旗)''' 러시아 차르의 기(旗): 1700년 모스크바 차르의 이전 백청적 기(旗) 대신 채택된 금색 직사각형 바탕에 성 블라디미르 붉은색 문장을 가진 검은색 이중 머리 독수리.[57]
- '''민간기(旗)''': 초기 로마노프 왕조는 14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중 머리 독수리 제국 기(旗)를 민간기(旗)로 제정했으며, 1858년 제국 시대에 대체될 때까지 러시아의 민간기(旗)로 남아 있었다.[56]
- '''러시아 민간기(旗)''': 1705년 1월 20일 표트르 1세의 칙령에 따라 채택된 백청적 삼색기.[57]
- '''러시아 제국 해군 군함기(旗)''': 1712년에 채택된 흰 바탕에 파란색 세인트 앤드류 십자기.[58] 그 이전에는 러시아의 군함기(旗)는 백청적 삼색기였다.[58]
- '''러시아 제국 해군 군함기(旗)''': 1700년에 채택된 붉은 바탕에 파란색 세인트 앤드류 십자기.
참조
[1]
서적
The Tsar's Foreign Faiths: Toleration and the Fate of Religious Freedom in Imperial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Russia
http://www.tacitus.n[...]
2013-08-20
[3]
웹사이트
History of Russia
https://www.academia[...]
2021-04-24
[4]
웹사이트
Population and Territory of Russia 1646–1917
http://www.warconfli[...]
2021-04-24
[5]
서적
Символы рус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сти
Изд-во МГУ
[6]
서적
Русская история в жизнеописаниях ее главнейших деятелей
https://books.google[...]
Olma Media Group
[7]
서적
Россия времени Ивана Грозного
Наука
[8]
서적
Смысл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
Вече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10]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08-19
[11]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12]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13]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14]
서적
Soil and Soul: The Symbolic World of Russianness
Ashgate
[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Russia
Scarecrow Press
[16]
서적
Byzantium and the Slavs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4
[17]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18]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19]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20]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21]
서적
Companion to Russian Studies: Volume 1: An Introduction to Rus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Чин венчания на царство Ивана IV Васильевича.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древних актов. Ф. 135. Древлехранилище. Отд. IV. Рубр. I. № 1. Л. 1–46
http://rusarchives.r[...]
2016-12-02
[23]
서적
Political Symbols in Russian History: Church, State, and the Quest for Order and Justice
Lexington Books
[24]
서적
Russia's Balkan Entanglements, 1806–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Scenarios of Power: Myth and Ceremony in Russian Monarchy from Peter the Great to the Abdication of Nicholas II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서적
England and the North: The Russian Embassy of 1613–1614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7]
서적
A History of Russia Volume 1: To 1917
Anthem Press
[28]
서적
Readings for Introduction to Russian civilization, Volume 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서적
Journey to Moscow
LIT Verlag Münster
[30]
서적
Moscow and East Rome: A Political Study of the Relations of Church and State in Muscovite Russia
Delachaux et Niestl
[31]
서적
Reign of Terror: Ivan IV
https://books.google[...]
BRILL
2015-10-20
[32]
서적
Scenarios of Power: Myth and Ceremony in Russian Monarchy from Peter the Great to the Abdication of Nicholas II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10-30
[33]
서적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я "Россия"
Рукописны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й Руси
[34]
서적
Памятники письменности в культуре познания истории России
М.
[35]
서적
Exploring Russia in the Elizabethan commonwealth: The Muscovy Company and Giles Fletcher, the elder (1546–1611)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Literature of Travel and Exploration: An Encyclopedia
Routledge
2014
[37]
서적
Early exploration of Russia. Volume 1
Routledge
2003
[38]
서적
John Milton: The Self and the World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5
[39]
웹사이트
Milton, John. A brief history of Moscovia and of other less-known countries lying eastward of Russia as far as Cathay, gather'd from the writings of several eye-witnesses
http://quod.lib.umic[...]
2016-12-05
[40]
서적
Россия в 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VI в: взгляд из Европы
https://www.google.c[...]
Русский мир
1997
[41]
서적
Восток – Россия – Запад: исторические и культур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Памятники исторической мысли
2001
[42]
서적
Русское государство в системе международных отношений конца XV – начала XVI в.
Наука
1980
[43]
서적
Rerum Moscoviticarum Commentarii. Synoptische Edition der lateinischen und der deutschen Fassung letzter Hand.
2007
[44]
서적
Estat de l'empire de Russie et grande duché de Moscovie, avec ce qui s'y est passé de plus mémorable et tragique... depuis l'an 1590 jusques en l'an 1606 en septembre, par le capitaine Margeret
M. Guillemot
1607
[45]
웹사이트
Moscow Tsardom
http://gumilevica.ku[...]
Agraph
2001
[46]
웹사이트
В некотором царстве, в некотором государстве...
http://istrodina.com[...]
Journal "Rodina"
2004
[47]
서적
Описание Москвы и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М,
1911
[48]
웹사이트
tsar
(OEtymD 링크 추정)
2019-06-13
[49]
웹사이트
Explanatory Dictionary of the Live Great Russian language, article ''ГРОЗИТЬ''
http://slovardalja.n[...]
[50]
학술지
Myths, Politics and the Not-so-New World Order
1993
[51]
학술지
Books Abroad: An International Literary Quarter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7-07-27
[52]
서적
Storytelling and Mythmaking: Images from Film and Litera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53]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54]
서적
Boris Godunov
Nauka
1983
[55]
웹사이트
Peter I {{!}} Biography, Accomplishments, Reforms, Facts, Significance, & Death
https://www.britanni[...]
2023-03-04
[56]
서적
Flags of the World
Chartwell Books
1993
[5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ussian Flag
http://www.rossimvol[...]
[58]
웹사이트
vexillographia.ru
http://www.vexillogr[...]
2010-10-02
[59]
웹사이트
www.crwflags.com
http://www.crwflags.[...]
2012-11-23
[60]
웹사이트
Population of Russia
http://www.tacitus.n[...]
2013-08-20
[61]
웹사이트
History of Russia. Factor analysis. Vol. II
https://www.academia[...]
2021-04-24
[6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Territory of Russia 1646-1917
http://www.warconfli[...]
2021-04-24
[63]
웹인용
"В некотором царстве, в некотором государстве..."
http://istrodina.com[...]
2008-03-22
[64]
서적
Символы рус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сти
Изд-во МГУ
1993
[65]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66]
서적
Россия времени Ивана Грозного
Наука
1982
[67]
서적
Смысл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
Вече
2004
[68]
웹사이트
Muscovite Tsardom
http://gumilevica.ku[...]
Agraph
2001
[69]
웹인용
Russian Empire (<1917)
http://flagspot.net/[...]
Flags of the World
2009-12-15
[70]
서적
Boris Godunov
Nauka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